본문 바로가기

Case Study [Consultant]/전략 컨설팅 케이스 풀이

#3 [컨설팅 케이스 풀이] 공원내 새 개체수 변화 원인

♬ 케이스 풀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, 개인의 분석과 판단 하에 이루어진 것임을 알려드립니다.

 

Client Requirement

공원 내의 새 개체수가 줄어들었다. 원인을 규명하시오.

새 주제에 나보다 잘생겼어

Clarification

이 케이스는 Non-business 문제로 즉각적인 창의성을 필요로 한다. 공원과 새의 생태의 상식과 이를 정립하여 프로페셔널하게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다. 먼저 공원 내/외부와 새의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도록 한다.

 

공원 내외부 특성 확인

  • 공원 외부에 대해서 알고 싶다. 위치한 지역적 특색이 있는가? 주거단지인지 상업단지인가. 혹은 철새가 많이 오는 동떨어진 자연공원인가.
    • 교외의 주거단지라 보면된다. 일반적인 공원이다.
  • 내부에 대해서 알고 싶다. 시설물은 어떤 게 있는가? 호수, 나무, 숲 등 새와 관련된 것들을 알고 싶다.
    • 호수가 하나 있고 나무가 많다. 그 외에는 보통의 공원을 상상하면 된다.
  • 방문객의 종류를 알고 싶다. 노숙자가 많이 사는지, 일반 시민들이 오는지, 사냥꾼도 오는지 궁금하다.
    • 일반 주민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  • 여타 새 유인 요소로써 특이 요소가 있는가?
    • 알아서 가정하라.

새 특성 확인

  • 새 개체 수가 줄었다고 하는데 어떠한 종류의 새가 살았었는가?
    • 비둘기라 보면 된다.
  • 새 숫자는 언제부터, 얼마큼 줄었는가
    • 1년 전에 비해, 20%만큼 덜 관측되고 있다.
  • 관측 방법이 궁금하다. 보통 새는 나무 위에서 살 텐데 개체 수를 어떻게 측정하는지?
    • 중요한 질문인가?
      • 그렇다. 관측 방법의 차이, 관측 시간의 차이, 관측 지역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변수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.
        • 알겠다.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.

 

Structure

공원과 새에 대한 특성을 확인했다. 새의 개체 수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소를 분석해야 한다. 철새가 아닌 비둘기로써 관측의 의미가 이동보다 거주의 의미가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다. 따라서 <내/외부 유입/유출>로 나누어서 분석해볼 수 있다.

 

  • 공원 내 새 개체 수 변화를 유입과 유출의 변화로 설명하고 싶다. 유입이 줄어들었거나 유출이 늘어났거나로 이유가 여겨진다. 혹시 더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게 있는가?
    • 먼저 각각의 가능한 이유를 직접 나눠보라.

내부 유입 감소

  • 내부 유입은 비둘기가 새끼 덜 낳게 되는 경우의 수라 볼 수 있다. 비둘기를 성체로 키우기까지 세 가지 프로세스를 겪게 된다. <짝짓기 - 새끼 보호 - 양육>이다. 
    • 알겠다. 각각의 key point는 무엇인가?
  • 먼저 짝짓기의 빈도 수가 줄어든 경우다. 새의 전체적인 건강이 1년 동안 많이 악화되었을 수 있다. 과도한 환경오염 혹은 인간의 식량에 노출되었기 때문이다. 혹은 암수의 불균형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교미의 수가 줄어들었을 수 있다.
  • 새끼 보호에 실패할 수 있다. 공원 내에 족제비나 뱀 등 비둘기 새끼의 천적이 등장했을 수 있다. 혹은 인간이 그에 준하는 해를 끼칠 수 있다. 혹은 나무가 부족해서 짝짓기를 해도 새끼를 키울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.
  • 양육 시에 원활한 영양 공급, 즉 벌레의 수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. 또는 개체 수 과다로 인해 공원 내 새 개체 수가 포화 상태로 변했을 수 있다.

외부 유입 감소 + 외부 유출 증가

  • 외부 유입과 유출 변화는 주위 환경의 변화로 인한 것이다. 이는 Positive environment, 즉 대안의 등장으로 개체가 줄게 된 경우와 Negative environment, 즉 좋지 않은 환경이 나타남에 따라 개체가 줄게 된 경우를 들 수 있다.
  • Positive environment로 외부에 여타 공원이 들어선 경우, 시내 가로수 환경 조성으로 인해 공원에 굳이 오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.
  • Negative environment로 앞서 말한 공원 내 환경변화(천적 등장, 환경 파괴, 새 주거지 감소 등)가 있을 수 있다. 뿐만 아니라 공원 외부에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이 등장한다거나 도로 설립으로 시끄러운 환경 조성 등 새 주거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변화가 있을 수 있다.

내부 유출 증가

  • 내부 유출은 공원 내 비둘기의 죽음을 의미한다. 계절 환경 변화, 온도 상승, 천적 등장, 시설물 파괴 & 건설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.

 

Analysis

촘촘하게 새의 개체 수가 줄어든 이유를 분석해보았다. 이제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답하는 방법 혹은 가장 중요한 것에 해당하는 것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다.

 

  • 혹시 여기서 중요하게 볼 부분이 있는가?
    • 어디를 중요하게 보고 싶은가?
  • 짝짓기가 흥미롭다고 본다. 짝짓기에 대해서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싶다.
    • 짝짓기를 세분화할 수 있겠는가? 알았다.
  • 짝짓기를 <구애 -> 눈 맞음 -> 짝짓기 -> 집짓기 -> 출산>으로 세분화해보았다. 여기서 문제점을 짚어내고자 하는데 더 추가해야 될 부분이 있는가?
    • 흥미롭다. 해보라.
  • 구애에서는 앞서 말했듯 암수 불균형의 문제, 나빠진 건강으로 인한 본능이 줄어드는 문제, 소음 공해로 인한 구애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을 생각해봤다.
  • 눈 맞음은 이성 개체에 대한 매력도가 건강상, 본능 상의 이유로 하락한 경우를 생각해봤다.
  • 짝짓기는 호르몬 변화로 인한 성불구가 있다.
  • 집 짓기는 수컷/암컷의 능력이 떨어지거나, 나무의 부족으로 가지가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.
  • 출산은 불임문제가 있다.
    • 좋은 프로세스와 분석이다. 여기서 답이 있다면 무엇일 것 같나.

 

Conclusion

질문자의 의중을 잘 파악한 경우로 정성적인 문제를 순조롭게 분석하였다. 새가 공원에 머무는 것인지, 거주하는 것인지에 대한 혼동이 처음에 있었지만 이후 거주의 개념으로 잘 접근하였다. 개인적으로 여기서는 소음 시설이 등장하여 구애 자체에 어려움이 생긴 경우가 가장 답에 근접할 것이라고 생각했다. 물론 답 또한 이와 같았다. 재밌지만 처음 들으면 당황할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한다.